로그인
1971년 우리나라 최초로 설립되어 아동복지학 분야의 중심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아동을 위한 다양한 현장에서 활동하는데 필수적인 능력과 전문적 지식, 기술, 따뜻한 마음을 갖춘 유능한 아동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ㆍ(학부)전화번호: 02-710-9477
ㆍ(대학원 및 교대원)전화번호: 02-710-9159
ㆍ(학부)위치: 순헌관323A호
ㆍ(대학원 및 교대원)위치: 순헌관417C호
ㆍ메일: childwelfare@sookmyung.ac.kr
ㆍ팩스: 02-710-9209
아동복지학부의 교수님들을 소개합니다
아동복지학부에서 수강할 수 있는필수과목 및 선택과목을 한눈에 보실 수 있습니다.
방향성 있는 진로설계를 위한이수권장 교과목을 알려드립니다.
아동복지학부 학생들의 여러가지 활동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동복지학부에서 2022-2학기 교선핵심 "아동권리와 사회복지" 과목을 신규 개설하였습니다.금 12:00 - 14:50 (순헌관 318호)1차 수강신청이 저조한 상황이라, 수강정정 기간에 추가 모집이 필요합니다.*학부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2-08-18
2021학년도 후기(2022년 8월 졸업) 졸업생 학위증 수령 및 배부 안내 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내용과 첨부파일 확인 부탁드리며, 2022년 10월내에는 모두 수령하도록 바랍니다.=================다 음=================================================================졸업생 대상 배부 (학과→졸업생) 가. 배부 일시: 2022.08.24(수) 10:00 부터 배부 나. 배부 장소: 각 학과사무실 다. 배부 방법 순서 절차명 비고 1졸업생 본인 확인 · 신분증 제시 요청2학위증&학위증케이스배부 · 학위증은 졸업생 1인당 국문1매, 영문1매 지급 · 학위증케이스(Hard Type)는 졸업생 1인당 1개 지급 · 동명이인은 졸업증서번호 확인 후 배부3상장&상장케이스 배부 · 졸업성적(최)우등상 수상자 해당 시 지급(명단표확인) · 학기우등상 수상자 해당 시 지급(명단표확인) · 상장케이스(Paper Type)는 수상 1건당 1개 지급4교원자격증 배부 · 교원자격증 취득자에게만 지급(명단표확인) · 자격증케이스는 없음5수령대장 작성 · 수령일, 수령자명 기재 · 배부 완료한 수령대장은 학사팀/교원양성센터로 제출6유의사항 전달학위증은 도용 등의 문제로 사유불문하고 재발급이 불가합니다 4. 문의(교내번호)구분소속전화번호학위증졸업성적우등상장학위증케이스문과대학/약학대학/미디어학부☎9994이과대학/사회과학대학/법과대학/글로벌서비스학부☎9019 공과대학/음악대학☎7802생활과학대학/경상대학/미술대학/영어영문학부☎9017학기우등상장학기우등상장 (학사팀성적담당)☎9026교원자격증교원자격증 (교원양성센터)☎7352
2022-08-09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힘, 숙명 숙 명 여 자 대 학 교 수신자수신자참조(경유)제 목202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개최 안내 202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일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다 음1. 행사명: 2021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 - 개최방법 : 학부 및 대학원 통합 소수인원 참여 대면행사+ 유튜브 생중계 ※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역의료 대응방안(7.13일자)에서 사회 각분야별 국민참여기반 자발적 거리두기 추진을 권고함2. 일시 및 장소 - 일시: 2022. 08.25.(목). 11:00~12:00 - 장소: 눈꽃광장홀3. 참석규모 구분(참석규모)학부일반대학원특수대학원교육대학원경영전문대학원졸업대상자:50명교원 및 진행요원:약 30명( 15명 )이사장상, 총장상, 학장상 등 10명 내외( 30명 )석사우수논문 대표 3명박사27명(전원)( 2명 )졸업대표 1명우수논문대표 1명( 2명 )졸업대표 1명우수논문대표 1명( 1명 )졸업대표 1명4. 식순 구분시간기타◾ 개식사 (교기 입장)11:02~11:05 ◾ 국민의례 (국기에 대한 경례, 애국가 생략)11:05~11:10 ◾ 이사장님 축사 11:10~11:15◾ 총장님 축사11:15~11:20 ◾ 학위 및 상장 수여11:20~11:40박사학위수여자석사학위수여자 학부학위수여자 ◾ 교가 (선창자)11:40~11:42 ◾ 폐식사 및 사진촬영11:42~11:45 5. 추가행사구분내용비고▶온라인 생중계◾유튜브 생중계, 교내IPTV, 학부모대기실 스크린 송출▶포토존 설치◾순헌관 광장▶온라인 인스타이벤트 ◾졸업생대상 졸업사진 인스타 게시 이벤트▶온라인 축하영상 게시◾SM-Bridge STARS 멘토 대상 축하영상6. 학위수여식 공지 가. 학교 홈페이지 showcase 클릭하면 공지사항으로 연결 나. 학위수여식 공지사항 공지 URL http://www.sookmyung.ac.kr/bbs/sookmyungkr/66/168495/artclView.do?layout=unknown끝.
2022-08-08
본교 총동문회에서는 생활과학대학 재학생 1인에게 2022학년도 총동문회 개인명명장학금(100만원)을 지급하고자 하오니아래 내용을 참조하시어 해당 학과사무실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대상 :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재학생 - 성적 4.3 만점에 3.3 이상- 2022년도 국가장학금, 성적장학금 수혜자 외 타 장학금 (교내 및 외부) 수혜자 제외- 2022년 1학기 모교학부 재학생, 22학년도 2학기 휴학(예정)생 제외* 장학금 지원분류: 생활비성 장학금 제출서류 : 학업성적증명서(1부)와 자기소개서(1부_자유형식) 제출 일시 및 장소 : 8월 8일 정오까지 각 학과사무실로 제출선발절차 : 생활과학대학에서 후보자 4인 선발, 이후 총동문회에서 최종 1인 선발 예정서류 제출할 곳 : 아동복지학부 사무실 메일 (childwelfare@sookmyung.ac.kr)-끝-
2022-08-02
아동권리보장원입니다. 1. 우리 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아동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수행과 아동복지 관련 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하여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아동권리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2. 보건복지부와 우리 원은 아동을 권리주체로 존중하는 사회적 기반마련을 위한 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을 준비하였습니다.3. 2022년 8월 18일(목),「디지털 사회 아동 참여와 보호의 조화」를 주제로 네번째 포럼을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가. 주 제: 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 제4회 「디지털 사회 아동 참여와 보호의 조화」 나. 일시/방식: 2022.8.18.(목) 14:00 / 온라인 진행 *(생중계 접속링크: https://youtu.be/RTPVFJBHHuI) 다. 장 소: 아동권리보장원 대회의실 라. 참가방법: QR코드로 사전 참여 접수 *(참가비 무료) * 붙임자료 QR 코드 접속 → 사전 참여 등록 → 참여 안내문 전송 → 포럼 방청 마. 신청기간: 2022.8.16.(화)까지 바. 문 의: 아동권리보장원 아동권리기획부( 02-6454-8559/kjj5248@ncrc.or.kr) 붙임 1.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 포스터 1부. 2.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 제4회 포스터 1부. 끝. 감사합니다.
2022-08-10
아동권리보장원입니다. 1. 우리 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아동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수행과 아동복지 관련 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하여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아동권리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2. 보건복지부와 우리 원은 아동을 권리주체로 존중하는 사회적 기반마련을 위한 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을 준비하였습니다.3. '22년 7월 29일(금), 제2회「미래세대 보호를 위한 아동 건강권 보장강화」, 8월 4일(목), 제3회「아동이 누려야 할 자유: 놀 권리와 쉴 권리」포럼을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구분제2회제3회주제미래세대 보호를 위한아동 건강권 보장강화아동이 누려야 할 자유:놀 권리와 쉴 권리일시(온,오프라인 병행)2022.7.29.(금) 14:002022.8.4.(목) 14:00장소용산청소년센터 소극장용산청소년센터 소극장참가방법QR코드로 사전 참여 접수*(참가비 무료/온·오프라인 모두 사전접수 필요)**붙임자료 QR 코드 접속 → 사전 참여 등록 → 참여 안내문 전송 → 포럼 방청신청기간~2022.7.27.(수)까지~2022.8.2.(화)까지문의아동권리보장원 아동권리기획부( 02-6454-8559/kjj5248@ncrc.or.kr) 붙임 1.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 포스터 1 부. 2.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 제2회 포스터 1부. 3.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릴레이 아동권리포럼 제3회 포스터 1부. 끝.
2022-07-28
1. 관련: 유아교육원-2016(2022. 6. 8.)2.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과 한국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위원회가 공동으로 「유아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영유아교원 양성체제 발전방안」을 주제로 2022. 제1차 유아교육‧보육 정책 포럼을 개최하오니, 관심있는 유아교육‧보육 관련학과 교수 및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일시: 2022. 6. 18.(토) 09:00~12:30 나. 장소: 온라인 zoom 화상회의실 ※ 사전등록자에 한하여 포럼 시작 전에 안내 메일 또는 문자로 접속 안내사항 발송 예정 다. 대상: 유아교육‧보육 관계자 라. 주요 내용: 유아교육‧보육 통합 관점에서의 영유아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발제와 토의 마. 사전등록 기간: 2022년 6월 15일(수) 24:00까지 ※ 온라인 사전등록 주소 https://forms.gle/JGMRBeeJFLL48deW9 (붙임 파일 내 QR코드 활용 가능) ※ 사전등록 시, 포럼 주제 관련 질문을 기재하면 발제자 및 패널에게 전달 예정 바. 문의처: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043-230-3379,3380 / 한국교원교육학회 010-7191-7521 본 공문을 유아교육‧보육 관련 학과에서 접수할 수 있도록 지정해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2022. 제1차 유아교육‧보육 정책 포럼 포스터 1부. 끝.
2022-06-10
□ 모집 개요 - (모집인원) 총100명 - (모집대상)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가. 아동학, 보육학 등 보육 관련 학과(학부)에 재학중인 대학생 나. 어린이집, 보육행정 관련 현장 등의 관심(진로희망) 있는 대학생 다. 멘토링 활동에 적극 참여 가능한 자 - (모집기간) 2022. 6. 9.(목) ~ 28.(화) / 20일간 - (지원방법) 지원서 작성 후 메일 발송 ※ 멘티 모집 관련 상세내용 및 지원서 양식 붙임 참조 ※ (제출처) hsr@kcpi.or.kr(한국보육진흥원 자격관리팀 멘토링 사업 담당자) - (문의사항) 한국보육진흥원 자격관리팀 02-6901-0227, 0229 붙임 1. 2022년 예비 보육교사 대상 멘토링 멘티 모집 공고문 2. 지원서 양식. 끝.
2022-06-09
안녕하세요.서울 중구육아종합지원센터입니다.서울 중구에서는 구에서 직영 운영하는'중구시설관리공단 직영 국공립어린이집 직원 공개채용'을 실시하고자 합니다.자세한 채용분야 및 채용인원은 붙임1을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아동복지학과에서는 2022-2 정신건강론 사이버 강의 조교를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바랍니다.1. 지원자격:* 정신건강론 사이버 강의조교 (1명) 본교 일반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재학생 우수 동문 우대2. 근무기간: 채용시부터 6개월 * 조교 근무 근로기준에 따라 2022년 9월(개강일)부터 정식근무3. 급여: 학기별 강좌당 1,114,000원 (우수동문/학석사연계 학생 : 등록금 전액)4. 업무내용: 수업과 관련된 업무 보조( ex: 출석관리, 수업관리 등)5. 서류접수 기한: 8월 12(금)6. 지원방법 : graceha@sookmyung.ac.kr 이메일 지원 지원시 메일 제목: [정신건강론 강의조교 지원] - 이름 이력서, 자기소개서 제출 (양식, 분량 자유)
2022-07-27
숙명어린이집 보조교사 및 육아휴직대체교사를 모집합니다. ○ 주 소: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숙명여대 사회교육관 1층] 숙명여자대학교어린이집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파일을 확인 바랍니다.
2022-07-21
서울 중구에서는 구에서 직영 운영하는 '중구시설관리공단 직영 국공립어린이집 직원 공개채용'을 실시하오니 자세한 내용은 붙임파일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2022-07-12
숙명여자대학교
입학처
놀이치료실
학부클럽
아동연구소
COPYRIGHT 2020 b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IGHT RESERVED